2016. 6. 9. 15:4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LS산전 PLC 프로그램을 하기위해


PLC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다운방법을 알아볼게요.

 ( Master-k , Glofa시리즈, XGT )


일단 LS 산전 홈페이지로 들어가야 합니다.







그런다음 자료실에 들어갑니다.






대분류에 PLC를 선택하고 win 이라고 검색을 합니다.



1번은 글로파 시리즈를 사용할 수 있는 GMWIN 입니다.

다운로드 받을수 있는 파일중에

Kor 은 한글버전

Eng 은 영문버전입니다.


2번은 마스터 케이 시리즈 전용 프로그램인 KGLWIN 입니다.

마찬가지로 Kor은 한글 Eng는 영문입니다.





다음은 XGT시리즈 버전인 XG5000입니다.

xg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Kr은 한글버전

En은 영문버전입니다.


LS산전 PLC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는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고

별도의 라이센스가 없습니다. LS산전 짱 !


Posted by Daily-Issues
2016. 6. 8. 22:1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포스팅하네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pc와 plc끼리 통신을 하기위해

 

설정하는 법과 케이블 연결도 보셨을거에요.

 

못보신분을 위한 링크입니다.

 http://pandaholic.tistory.com/27

 

 

통신하기 위한 준비가 끝났으니

 

이번엔 통신 연결을 해보아야 겠죠?

 

쓰기

 

를 하기 위해서 온라인 탭에 있는

 

'접속+쓰기+모드 전환(런)+모니터 시작 항목을 선택합니다.

 

 

위와 같이 업-로드 프로그램을 선택한 다음 확인을 누르면

 

pc에 있는 프로그램이 plc로 저장이 됩니다.

 

기존에 plc에 들어있던 자료는 없어지겠죠?

 

중요한 자료가 날아가지않게

 

항상 조심해서 해야합니다.

 

 

 

 

만약에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이경우에는 CPU의 모드 키를 STOP으로 돌렸다가

REM/PAU모드로 바꾸면 됩니다.

 

 

 

 

 

 

혹은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아래의 사항을 체크해 주세요.

 

1) 케이블 결선

2) GMWIN에서 설정된 통신 포트 번호

3) PC에서의 통신 포트

4) PLC 통신 포트

 

 

 

 

정상적으로 쓰기까지 완료 되었다면

 

자동으로 모니터 모드로 바뀌었을 겁니다.

 

 

왜냐하면 아까

'접속+쓰기+모드 전환(런)+모니터 시작' 항목을

선택했기 때문이죠.

 

 

위에처럼 파란색 테두리가 생겼을 거에요.

 

모드 전환이 (런) 모드로 되었기 때문에

 

IX0.0.0 기동스위치나 IX0.0.1 정지 스위치를 누르면

 

색이 바뀌면서 입력 또는 출력 상태가 어떤지

 

확인할 수 있는게 모니터 모드의 장점이에요.

 

장비를 유지보수 할 때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

 

왜 기계가 동작을 하지 않는지 !

 

어느 부분때문에 출력이 나오지 않는지 !

 

어느 부분이 고장나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지 !

 

등등 원인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죠.

 

 

 

다음시간에는 입력과 출력을 강제로 ON, OFF 시켜보는

 

강제I/O 설정

 

장비 없이도 미리 프로그램을 시뮬레이션 하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이상으로 PLC에 PC프로그램을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Posted by Daily-Issues
2016. 5. 24. 11:1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포스팅을 하네요.


이번에는 프로그램을 컴파일해서 PLC와 통신하는법을 알아볼게요.




PLC 기초 및 PLC 프로그램 7 편에서는


여기까지 진행을 하셨을거에요.




자~ 이제 프로그램을 쓰기 전에 컴파일이란걸 하셔야 해요.


컴파일이란 프로그램 언어를 PLC가 알아먹을 수 있게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소프트웨어 상단의 컴파일 탭에서

컴파일 또는 모두 컴파일을 누르시게되면

컴파일을 진행하게 되는데...


친절하게도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을 시 에러로 알려줍니다.


모르고 똑같은 출력을 두번 써버렸다? (이중코일)

프로그램을 작성하다가 끝내버린곳이 있다.(미완성)

등등 잘못된곳이 분명 있을거에요.


확인해서 고쳐주시고 다시 컴파일을 해주세요~




컴파일을 진행하면 아래와같은 파일들이 생성됩니다.



                <프로젝트 명>.PRJ * :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젝트 파일

               <프로그램 명>.SRC* :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 파일

<프로젝트 명>.BN0 : PLC 실행 파일       

                                                   GM1인 경우 리소스 개수 만큼 생깁니다.

                       <프로젝트 명>.BN0 ~ <프로젝트 명>.BNn, (n는 리소스 번호)

         <프로젝트 명>.MON :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 파일

            <프로젝트 명>.CR0 : PLC 실행 파일을 만들 때 생성.

                                                          글로벌 변수 및 직접 변수를 나타낸 텍스트 파일

                              <프로그램 명>.ASV :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저장.

        

                <프로그램 명>.OP? : 프로그램 블록을 컴파일하면 생성.

           <프로그램 명>.OB? : 펑션 블록을 컴파일하면 생성.

    <프로그램 명>.OF? : 펑션을 컴파일하면 생성.

                                                    ( OP3 : GM3인경우,  OP4 : GM4인경우)     



다른건 몰라도 가장 위에 2가지는( .PRJ  .SRC )

 유지 보수를 위해서 필수로 보관하셔야 합니다.





Anyway!! 이번엔 PC와 PLC 접속을 위한 통신을 알아보아야겠죠?


프로그램 탭에서 옵션을 클릭해주세요.




옵션창이 뜨면 4번째 접속 옵션을 눌러주시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접속 방식이 보이죠? 디폴트 값으로 RS-232C가 되어있고

통신 포트는 COM1 번 포트로 되어있네요.


LS산전의 Master-K나 글로파 시리즈는

거의 다 RS-232C로 되어있습니다.


XGT시리즈부터는 이더넷도 많이 하긴합니다.


케이블을 한번 살펴보죠 !



232C니까 크로스겠죠?


2번과 3번을 서로 크로스해주고 5번끼리 연결해주면

RS-232C 통신 케이블 완성입니다.


참 쉽죠?


케이블을 만들어서 PLC와 PC에 연결을 하면


장치관리자에서 시리얼통신이 몇번 포트에 할당되어있는지


나옵니다.


COM 몇번인지 그 번호를 접속 옵션창의 통신 포트에 써주세요.


그럼 통신 준비가 끝납니다!!



이번시간에는 컴파일과 통신하기 전 세팅에 대해 알아봤어요.

이왕이면 쓰기까지 해서 시뮬도 돌려보고 싶지만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할게요 ㅎㅎ


고생많으셨어요~~

Posted by Daily-Issues
2016. 5. 12. 11:3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랫만에 포스팅이네요.


이번에는 간단한 샘플 프로그램을 작성해 볼게요.


프로그램에서 A접점(평상시 열린 접점) 을 가져오기 위해서


도구상자에서 A접점을 클릭하여


프로그램 창에서 다시 한번 클릭해볼게요.



이번에는 평상시 닫힌 접점인 B접점을 도구상자에서 클릭하여


프로그램 창에 넣어볼게요.


출력 코일을 도구상자에서 클릭해서 아래 사진처럼 프로그램 창에


한번 더 클릭해 주세요.


잘 따라오고 계신가요? 이번에 선을 추가해서 병렬로 이어 줄거에요.

 

도구상자에서 수직선을 클릭해서 프로그램 창에 클릭해주세요.

잘 되가고 계신가요?


어때요? 참쉽죠??


잘 따라오셨다면 어드레스(주소)를 할당해 줄거에요.


아까 꺼낸 A접점과 B접점, 코일에 주소를 줄거라는 말이죠.


각 디바이스를 더블 클릭해보면 변수 입력 창이 나와요.

'변수 이름'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직접변수 설명문'을 클릭해서


디바이스에 설명을 넣을 수 있어요.


변수 이름에 % IX0.0.1 을 넣었네요.


변수 이름 넣는법은 PLC기초 5번에선가 다뤘어요.


IX0.0.1이니까 직접변수로 입력했고 X는 input 이고


0.0.1 은 0번 베이스에 0번 슬롯의 1번 비트라는 소리겠죠?


까먹으셨으면 잠깐 복습을 ㅎㅎ


모든 디바이스에 어드레스 할당을 해주시고 설명도 넣으셨다면 !!


"보기" 탭에서 '설명문' 항목을 클릭해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설명을 볼 수가 있어요.

생각보다 간단하죠?




간단하게 2줄 프로그램 해봤어요.


시작스위치가 눌리면 (입력쪽 0번비트에 신호가 들어가면)


램프가 켜지겠죠?


램프가 켜지면 행1에서 qx0.1.0도 켜지니까 기동스위치를 누르고 있지 않고


손을 떼더라도 계속 유지를 하고 있을거에요.


자기가 자기를 유지하고 있는거죠.


그래서 자기유지라고 부른답니다.


정지스위치인 0.0.1에 신호를 주면

요 자기유지를 끊어버리겠죠?




기초같지만 웬만한 프로그램은


이런 기초와 기초를 연결해서 한다는것 !!


조건을 만족하면 출력을 내보낸다!!




뭐 아날로그 카드를 쓰든 서보제어를 하던 결국 조건에 맞으면 기동하는거죠 뭐




그 조건에 +@ 로 조금 설정을 해주는게 있지만요..


하지만 처음에 혼자할 때 어려운거지 알고나면 별거 아니라는거 !


나중에 기회가 되면 서보제어쪽도 포스팅 해볼게요~




말이 길어졌는데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는 프로그램 PLC에 저장해볼게요.

물론 가장 중요한 통신하는 법도 알아야겠죠?

통신이 안되면 말짱 꽝이잖아요....갑자기 슬픈 기억이 : (


이상으로 PLC 기초 및 프로그램 정보 공유였어요~


Posted by Daily-Issues
2016. 5. 2. 10:0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말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새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겠습니다.



프로젝트 생성


GMWIN.EXE를 실행시키면 아래와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만약 GMWIN을 종료하기 전에 작성한 프로젝트가 있다면

마지막에 저장한 프로젝트가 화면상에 나타납니다.





프로젝트 메뉴 바를 누르시면 아래와 같은 팝업 메뉴가 나타납니다.




가장 위에 있는 새 프로젝트를 클릭해줍니다.


새 프로젝트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 정의 창이 나타납니다.


프로젝트의 이름을 입력해 주시고

PLC의 종류를 골라주신뒤

확인을 눌러줍니다.




프로젝트 정의 창에서 프로젝트 이름과 기종을 골라 확인을 누르셨으면

아래와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인스턴스 이름이란 프로젝트 안에 들어갈 프로그램의 이름입니다.

이름만 정해주시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그냥 확인을 눌러도 상관없습니다.





다음으로는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언어를 선택해주시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프로그램 설명은 안써주셔도 무관합니다.


사용 언어에 대해 잠시 살펴보겠습니다.


사용 언어를 보시면 SFC와 LD, IL이 있는데


이는 모두 IEC 표준 언어 입니다.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국제 전기 표준회의


IEC에서 표준화한 PLC용 언어는 두 개의 도형 기반 언어와

두 개의 문자 기반 언어 그리고 SFC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도형식 언어에는 LD 와 FBD가 있습니다.


LD는 Ladder Diagram 으로 미국의 사다리형에서 기원한 언어이며

입력과 출력을 조합하여 프로그램합니다.

기존의 릴레이 로직 표현 방식의 언어입니다.


FBD는 Function Block Diagram 의 약자로 블록화한 기능을 서로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표현합니다.


문자식 언어에는 IL과 ST가 있습니다.


IL은 Instruction List로 유럽에서 많이 사용하며, 어셈블리어 형태의 언어입니다.


ST는 Structures Text의 약자로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용으로

개발되어 파스칼이나 C를 기원으로 하는 언어입니다.


마지막으로 SFC는 Sequential Function Chart의 약자로 공정의 흐름이나 동작을

순차적으로 표현한 언어이며, 시간과 이벤트 등의 제어 시퀀스를 블록으로 정의하였습니다.


보통 레더다이어그램인 LD를 가장 흔히 사용합니다.




언어를 LD로 하시고 확인을 누르시면

아래와같이 프로젝트가 만들어진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새 프로젝트를 만들어 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통신 및 PLC에 쓰기를 해보겠습니다.

Posted by Daily-Issues
2016. 4. 30. 21:4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생산자동화 기능사 자격증을 준비하고 계신가요?

 

오늘은 생산자동화 기능사 실기 및 필기 시험을 치르는데 필요한

 

요점정리를 준비했습니다.

 

바쁘신분들은 두꺼운 글씨만 보셔도 되요.

 

생산자동화 기능사와 산업기사를 모두 취득했으니 믿으셔도 좋습니다 !

자랑같아서 죄송해요ㅋ

 

 

2회 정기 기능사 시험이 진행중이니

필기에 합격하신분들은 실기시험을 준비하고 계시겠네요.

 

그럼 실기부터 알아볼까요?

 

생산자동화 기능사 실기 시험 검정 방법은

 

작업형으로 4시간동안 메카트로닉스 장치를 운용 하는거네요.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시험지에서 요구한대로 동작을 하게끔

PLC 프로그램을 해서 장비를 돌리시면 됩니다.

 

PLC만 하면 끝이냐? 아닙니다. CAD도 해야합니다.

 

 일단 PLC는 그냥 실린더4개를 가지고 시퀜스제어를

 

즉 순차제어를 하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높더 높은 점수를 맞으시려면 센서를 이용하여

 

불량품과 정품을 구별할 줄도 알아야 겠죠?

 

어차피 다들 공부하는 곳에 생산자동화 검정 장비가 있잖아요~

그걸로 연습좀 해보면 다들 잘 푸시잖아요.

 

자! 가장 중요한 포인트 나갑니다.

 

다들 프로그램 잘합니다!

 

그럼 왜 떨어지느냐??

 

시험장에 관한 준비를 안해서 떨어집니다.

 

1. 난 미쓰비시 PLC로 했는데 시험장에 가보니 글로파 PLC가 되있네?

 

손도 못대고 나오는 사람도 있습니다.

 

2. 내가 썼던 장비하고 조금 다르네??

 

스위치랑 램프가 없고 대신 터치스크린으로 다 한다고 하네??

 

난 터치 할 줄 모르는데...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당연히 실기시험 보는 장소에 가서 연습을 해봐야죠.

 

어떤 PLC로 시험을 보게 되는지

 

소프트웨어는 뭐를 쓰는지 ! 미쓰비시면 디벨로퍼를 쓰는지 웍스2를 쓰는지 !

 

통신은 시리얼로 되있는지 이더넷으로 되있는지

 

모르면 물어보세요. 시험날짜 몇일 전에 시험장 가보면 공부하고있는 학생 많습니다.

 

요약하자면

시험장에 미리 답사해서 알아놓자! 입니다.

 

캐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Autocad를 쓰는지 솔리드웍스나 솔리드 엣지를 쓰는지

 

미리 알아놔야 당황을 안합니다.

 

캐드 시험이야 보고 따라 그리는 거니까

 

따로 설명안해드려도 되죠?

 

굳이 꼽자면 정석으로 못그리겠으면

 비슷해보이게라도 그려놓으세요.

 

그리고 저장 ! 5~10분에 한번씩 꼭하세요.

 

저장안하고 하다가 컴퓨터 꺼지고

프로그램 오류떠서 다 날라가는 사람

꼭 있습니다!!

 

다~그리고 3D 투상을 못했다? 탈락입니다.

 

3D도 하고 거의 다 그렸는데 우측면도 하나를 못했다? 탈락입니다.

 

하지만 대충이라도 그려놓으면 감정만 받고 탈락까지는 면할 수 있습니다.

 

대신 PLC를 응용2까지 다 하셔야겠죠?

 

 

 

이정도면 확인하고 가면 실기는 문제 없으리라 봅니다.

대신 산업기사는 난이도 클라스가 틀림 ㅋ 서보랑 터치가 추가되서..

 

 

그럼 필기를 알아볼까요?

 

필기 공부 방법은 2가지 입니다.

 

1. 조금 오래 걸리지만 제대로 공부해서 합격하겠다.

2. 난 자격증이 우선이다. 그냥 자격증! 무조건 자격증이다!

 

1번의 경우

 이론을 공부하면서 과년도 기출문제 풀고 오답노트도 해보고 하시면됩니다.

후에 관련 업종으로 일할 때 도움이 많이 됩니다.

 

2번의 경우

과년도 기출문제 답만 외우세요.

그냥 문제 답 문제 답

문제만 읽어도 "아! 이문제 답 2번" 할정도가 되면 합격할 수 있습니다.

과년도 한 10년치 풀어보면 되겠죠? ㅋ 그래도 몇개 안되요

후에 관련 일을 할 때 도움이 코딱지정도만 됩니다.

 

필기시험 때의 팁!

1. 과년도 기출문제와 똑같이 나오는 문제가 상.당.히 많다!!

2. 문제속에 답이 써있는 경우가 더러 있다. (기능사니까 ㅋ)

3. 한과목만 잘해도 소용없다. 40점이하 맞은 과목있으면 탈락 !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 ! 과목당 20문제 중에 12개이상 맞음됩니다.

12개 못맞추더라도 8개 이상(과락)은 맞춰야합니다.

 

끝!!

이상으로 생산자동화 기능사 실기 및 필기 요점이었습니다.

 

궁금한점은 댓글 달아주세요.

어차피 무플일거야 :(

 

Posted by Daily-Issues
2016. 4. 29. 10:0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오토캐드 무료로 학생용 간단히 설치하기입니다.


솔리드, Pro-E, 카티아 등 설계와 디자인분야에서

기본이 되는 오토캐드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오토캐드 학생용 무료로 설치하기.



Step 1. 오토캐드 홈페이지에 들어가 학생용 무료 설치를 클릭합니다.

편의를 위해 가져왔습니다. 

http://www.autodesk.com/education/free-software/autocad




Step 2. 학생용 아이디를 만들어야 합니다.










요 화면이 보인다면 아까 입력한 이메일로 들어가 확인을 눌러줍니다.



VERIFY EMAIL 클릭!





음... 성공했다고 축하한다는군요


끝인줄 알았더니 귀찮게시리 뭔가 새로 생겼네요.



교육기관 이름이라는데 못찾으니 저걸 눌러줍니다.



Autodesk 미안해요~ 대충써서


위에처럼 넣고 Add 눌러주세요


위에처럼 써줍니다. 나는 디자이너!




후... 다끝났다네요.




또 이상한거 시키면 널 끝내버리갓어!


Done 을 눌러줍니다.



Step 3. 설치할 제품을 골라줍니다.

난 당장 다운로드를 받겠어!


DOWNLOAD NOW 눌러줍시다~



오토캐드 버전을 골라주시고~ 골라골라 아무거나 골라~~

쓰시는 윈도우가 32비트인지 64인지 선택해주시고 !

언어를 골라주세요 !

난 영어가 좋다 하시는분은 영어하셔도 되요 ㅋ That's your call !


난 내가 윈도우 몇비트인지 모르겠다! 하시는분은

시작 누르셔서 컴퓨터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속성




여기 나와있습죠. 윽 CPU 사양이 너무 부끄럽네요ㅋㅋ

아재요~이게 뭐에요~



Anyway ! 아무튼 버전과 비트 언어를 골라서

INSTALL NOW 당장 설치해 를 눌러주시면




요렇게~ 나옵니다.

그냥 동의해주세요 I Accept 눌러주시고

설치 !! 똭 !!


이후로는 어려움없이 그냥 설치가 잘~ 되실겁니다 !!



이상으로 오토캐드 학생용 무료 설치였습니다.

3년동안 쓸 수 있다고하니 3년뒤에 뵈요~ ㅎㅎ

Posted by Daily-Issues
2016. 4. 28. 17:4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회사를 그만두기 전 마지막으로 고민하는 사직서 입니다.


간.단.하.게 사직서 쓰는법 및 사직서 양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단에 사직관련 꿀팁이 있습니다.)


사직서 양식


1. 회사에서 쓰는 양식이 있는경우 해당 양식을 쓰면 됩니다.


2. 회사에서 쓰는 양식이 따로 없는 경우에는

정해진 양식이 없이 그냥 인터넷에서 사직서 무료 양식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사직서 쓰는법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항목에는


이름

부서나 직위

입사년월일

사직사유

제출일

제출자 서명


이 있습니다.


이름 부서 직위 입사날짜 다 쉽습니다.


제출일은 사직서 내는 날짜를 적으시면 되고

그 아래 이름과 서명(도장)




Tip 1


사직사유 !!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짤리는게 아니라 직접 나가시는거라면


일신상의 사유로 xx년xx월xx일로 사직하기를 희망합니다.


라고 적으시면 되고 xx월xx일은 한달 뒤의 날짜를 적으시면 됩니다.


예시 ) 5월1일에 사직서를 내실거라면 6월1일로 사직하기를 희망합니다.


( 일신상의 사유 = 개인사정 )




Tip 2


회사에서 사직서를 수리해주지 않을경우에는


이메일로도 사직서를 보내놓으시면 내용증명으로 쓰실수 있습니다.


사직서를 제출하고  30일 이후로는 출근하지 않아도 법적으로 책임이 없다고 합니다.




Tip 3


본인이 희망하지 않았는데 퇴사를 하게 된 경우 사직사유에 명확하게 적어놓으면


퇴직 후에 실업급여를 신청해서 월급의 5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간혹 실업급여비를 아끼려고 회사측에서 "사유를 xx라고 써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부분은 회사측이랑 잘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법대로라면 퇴사를 당했을경우에는 회사측이 지게 되있다고 합니다.


돈 몇푼 때문에 자꾸 들락날락하고 노동부에서 부르니까요;; 




이상으로 사직서 쓰는법 및 사직서 양식과 사직서 Tip을 알아보았습니다.

Posted by Daily-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