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5. 12. 11:3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랫만에 포스팅이네요.


이번에는 간단한 샘플 프로그램을 작성해 볼게요.


프로그램에서 A접점(평상시 열린 접점) 을 가져오기 위해서


도구상자에서 A접점을 클릭하여


프로그램 창에서 다시 한번 클릭해볼게요.



이번에는 평상시 닫힌 접점인 B접점을 도구상자에서 클릭하여


프로그램 창에 넣어볼게요.


출력 코일을 도구상자에서 클릭해서 아래 사진처럼 프로그램 창에


한번 더 클릭해 주세요.


잘 따라오고 계신가요? 이번에 선을 추가해서 병렬로 이어 줄거에요.

 

도구상자에서 수직선을 클릭해서 프로그램 창에 클릭해주세요.

잘 되가고 계신가요?


어때요? 참쉽죠??


잘 따라오셨다면 어드레스(주소)를 할당해 줄거에요.


아까 꺼낸 A접점과 B접점, 코일에 주소를 줄거라는 말이죠.


각 디바이스를 더블 클릭해보면 변수 입력 창이 나와요.

'변수 이름'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직접변수 설명문'을 클릭해서


디바이스에 설명을 넣을 수 있어요.


변수 이름에 % IX0.0.1 을 넣었네요.


변수 이름 넣는법은 PLC기초 5번에선가 다뤘어요.


IX0.0.1이니까 직접변수로 입력했고 X는 input 이고


0.0.1 은 0번 베이스에 0번 슬롯의 1번 비트라는 소리겠죠?


까먹으셨으면 잠깐 복습을 ㅎㅎ


모든 디바이스에 어드레스 할당을 해주시고 설명도 넣으셨다면 !!


"보기" 탭에서 '설명문' 항목을 클릭해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설명을 볼 수가 있어요.

생각보다 간단하죠?




간단하게 2줄 프로그램 해봤어요.


시작스위치가 눌리면 (입력쪽 0번비트에 신호가 들어가면)


램프가 켜지겠죠?


램프가 켜지면 행1에서 qx0.1.0도 켜지니까 기동스위치를 누르고 있지 않고


손을 떼더라도 계속 유지를 하고 있을거에요.


자기가 자기를 유지하고 있는거죠.


그래서 자기유지라고 부른답니다.


정지스위치인 0.0.1에 신호를 주면

요 자기유지를 끊어버리겠죠?




기초같지만 웬만한 프로그램은


이런 기초와 기초를 연결해서 한다는것 !!


조건을 만족하면 출력을 내보낸다!!




뭐 아날로그 카드를 쓰든 서보제어를 하던 결국 조건에 맞으면 기동하는거죠 뭐




그 조건에 +@ 로 조금 설정을 해주는게 있지만요..


하지만 처음에 혼자할 때 어려운거지 알고나면 별거 아니라는거 !


나중에 기회가 되면 서보제어쪽도 포스팅 해볼게요~




말이 길어졌는데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는 프로그램 PLC에 저장해볼게요.

물론 가장 중요한 통신하는 법도 알아야겠죠?

통신이 안되면 말짱 꽝이잖아요....갑자기 슬픈 기억이 : (


이상으로 PLC 기초 및 프로그램 정보 공유였어요~


Posted by Daily-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