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제어를 시작하는 분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개념 중 하나가 PLC와 릴레이의 차이점입니다.
두 기기는 모두 자동제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기능과 사용 목적, 구조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LC와 릴레이의 정의부터 차이점, 장단점, 실제 사용 예시까지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 PLC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전자식 제어 장치로, 논리 연산을 통해 다양한 기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컴퓨터 기반 장비입니다.
-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다양한 논리 회로 구성 가능
- 센서, 모터, 릴레이 등과 연결되어 자동 제어 수행
-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됨
예: 자동문, 컨베이어 벨트, 포장 기계, 생산라인 제어
✅ 릴레이란?
릴레이(Relay)는 전기 신호로 접점을 열고 닫아 회로를 제어하는 전기적 스위치입니다.
- 자기력을 이용해 접점을 전기적으로 연결/차단
- 전류 흐름에 따라 회로 ON/OFF 가능
- 구조가 단순하고 비용이 저렴
예: 간단한 자동 제어 회로, 시퀀스 제어, 모터 시동 제어
📊 PLC와 릴레이 비교표
구분 | PLC | 릴레이 |
---|---|---|
제어 방식 | 프로그램 기반 논리 제어 | 하드와이어 접점 제어 |
확장성 | 높음 (입출력 모듈 추가 가능) | 낮음 (회로 추가 복잡) |
변경/수정 | 소프트웨어로 가능 | 배선 수정 필요 |
복잡한 제어 | 가능 (연산, 타이머, 카운터 포함) | 불가 (단순 ON/OFF) |
장점 | 자동화, 유지보수 편리 | 비용 저렴, 구조 단순 |
단점 | 초기 비용 높음 | 배선 복잡, 유지 어려움 |
📌 실제 사용 예시 비교
- 릴레이 제어: 단순한 모터 ON/OFF 회로
- PLC 제어: 센서 입력 → 모터 가동 → 타이머 종료 같은 논리 흐름 포함
릴레이는 단순한 전기 흐름 제어에 적합하고,
PLC는 복잡한 조건 논리와 시퀀스 제어에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어떤 상황에 무엇을 써야 할까?
- ✅ PLC 추천: 복잡한 공정, 자동화 라인, 제어 조건이 많은 경우
- ✅ 릴레이 추천: 소규모 회로, 단순 ON/OFF 제어만 필요한 경우
📍 TIP: 최근에는 소형 자동화도 PLC로 대체하는 추세입니다.
PLC와 릴레이는 제어 방식은 다르지만, 모두 전기제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러 상황에 맞는 선택이 필요하며, 구조와 기능의 이해가 먼저입니다.
'공부하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기초] 경제성장률이란 무엇인가? 경제성장률 뜻 (2) | 2024.05.27 |
---|---|
[경제금융기초] 제로금리란 무엇인가? 제로금리 뜻 (0) | 2024.05.21 |
[경제금융기초] 펀드란 무엇인가? 펀드 뜻 (1) | 2024.05.21 |
[PDF] IO-LINK 단자대 사양 및 치수 자료 공유 (0) | 2024.03.22 |
민웰 파워서플라이 G3 시리즈 싱글타입 사이즈 모음 (0)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