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9. 9. 19:5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센서를 사용하려면 NPN 타입, PNP 타입이란 말을 많이 들으실텐데

 

NPN ,PNP 타입에 따라 배선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잘못 배선하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 타입의 차이점이라 하면 간단하게 출력이 - 마이너스냐, +플러스냐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토닉스사의 근접센서를 사용한다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PR 시리즈의 센서가 흔히 많이 사용되는데 제품안에 메뉴얼이 들어있습니다.

 

메뉴얼을 보면 모델, 사양, 배선, 외형 치수 등의 정보가 나와 있는데 배선쪽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오토닉스 PR시리즈 배선도

 

NPN출력과 PNP 출력인데 얼핏보기에는 비슷하지만 출력 라인을 보시면 차이점이 있습니다.

 

갈색과 청색은 표준이기 때문에 갈색에 +전압을 연결해주고, 청색에는 -전압을 연결해 줍니다.

 

그리고 흑색은 출력선이 되겠습니다.

 

NPN 같은 경우 출력이 (-) 마이너스 출력이고, PNP 는 (+)출력입니다.

쉽게 NPN은 minus, PNP는 Plus 라고 외우시면 되겠네요.

 

그럼 여기서 출력을 가지고 릴레이를 동작시려면 배선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NPN 타입의 경우 출력이 (-) 마이너스 출력이니까 릴레이의 전원 중 (+) 전원은 미리 연결해놓고 (-) 전원은 NPN 센서의 출력을 연결해 주시면 되겠네요. 그럼 센서가 물체를 감지해서 출력신호를 주면 릴레이가 동작하겠죠?

 

반대로 PNP 타입의 경우는 (+) 플러스 출력이니까 릴레이의 전원 중 (-) 전원은 미리 연결해놓고 (+) 전원쪽에 PNP센서의 출력을 연결해 주면 되겠네요.

 

센서의 경우 민감한 제품이기 때문에 전원을 잘못 연결하면 고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리 메뉴얼 확인하셔서 안전도 챙기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Daily-Issues